본문 바로가기
토지 개발 투자 실전

개발행위허가 대상 중 토지 형질변경 기준

by 랜드마스터 2023. 9. 18.
반응형

● 토지 형질변경
토지 형질변경이란 절토(깎기).성토(쌓기).정지(다지기).포장 등의 방법으로 토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행위와 공유수면의 매립을 말합니다.

 

● 토지 형질변경 기준
▶ 입지 기준
1. 상위계획에 부합되고 관련 법규상 제한사항이 없는 지역이야 합니다.
상위계획이라면 도시.군계획사업 등이 되겠고 법규상 제한사항 이라면 개발행위허가제한지역에 지정된다면 토지 형질변경 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행위도 불가능하겠죠
2. 그 밖의 경사도.임상도.표고 등에 대한 도시.군관리계획 조례가 정하는 기준에 부합해야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입목축적.경사도.표고에 대해 설명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입목축적 입목본수도 산지전용허가 기준 세부항목

이전 포스팅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산지전용 기간과 산지면적에 관한 허가 기준에 대해 알아봤죠 산지전용 기간 산지 면적 허가 기준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산지전용 기

pak080.tistory.com

 

평균 경사도 산지전용허가 기준

이전 포스팅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입목축적 입목본수도 기준에 대해 알아봤죠. 입목축적 입목본수도 산지전용허가 기준 세부항목 이전 포스팅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pak080.tistory.com

 

표고 기준지반고 산지전용허가 기준

이전 포스팅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평균 경사도 기준에 대해 알아봤죠 평균 경사도 산지전용허가 기준 이전 포스팅 산지전용허가 기준의 세부사항 중 입목축적 입목본수도 기준에

pak080.tistory.com

산지(임야)에 대해서는 국토계획법의 개발행위허가 기준뿐만이 아니라 산지관리법에서 정한 산지전용허가 기준 중 입목축적.경사도.표고 등의 기준에도 부합되어야 하기에 주의가 필요하죠

​▶ 부지 조성 계획 기준
1. 절토.성토시 비탈면 일단의 수직높이는 용도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래의 높이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비탈면은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위 사항에도 불구하고 산지비율이 70%이상인 시.군,구는 위 기준의 10%범위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시가화.유보용도지역에서 2단 이상으 옹벽을 설치하는 경우 옹벽간 수평거리를 2m이상 이격하고 보전 용도지역에서는 2단 이상의 옹벽을 설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3. 비탈면의 높이가 5m를 넘을 경우 수직높이 5m마다 폭 1m 이상의 소단을 만들어 사면안정을 기함은 물론 비탈면의 점검.배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며 지피식물,소관목 등 비탈면의 구조안전에 영향이 없는 수종으로 녹화처리를 해야 합니다.
다만, 비탈면이 암반 등으로 이루어져 유실이나 붕괴의 우려가 없다고 허가권자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습니다.
⇒ 부지조성 계획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지역여건이나 사업특성을 고려하여 법령의 범위내에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지(임야)에 대해서는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전용허가 기준도 적용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환경 및 경관 기준
1.제거된 양질의 표토는 개발행위 후 가급적 재사용 될 수 있도록 합니다.
2. 절토.성토시 사면의 안정과 미관을 위해 가급적 구조물 공법보다는 친환경적 공법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3. 녹지지역.비도시지역에서의 절토.성토의 처리는 콘크리트 옹벽 등과 같이 자연경관과 부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재료보다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사면처리 하도록 합니다.
4. 도로의 개설로 인하여 녹지축이나 산림연결축이 단절되지 않도록 합니다.

​▶ 방재 기준
1. 토지의 지반이 연약한때에는 그 두께.넓이.지하수위 등의 조사와 지반의 지지력.내려앉음.솟아오름애 관한 시험결과 및 흙바꾸기.다지기.배수 등의 개량방법을 개발행위허가 신청시 첨부하도록 합니다.
2. 토지 형질변경에 수반되는 절토.성토에 의한 비탈면 또는 절개면에 대하여 옹벽 또는 석축을 설치할 경우에는 관련법령 및 도시.군계회조례예서 정하는 안전조치를 하도록 합니다.

 

Written by 성공마침표 지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