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반응형 토지 개발 투자 실전89 건축법 도로 지정 건축선 지정 도로모퉁이 건축선 가각전제 이전 포스팅 건축법 도로에서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접도의무) 막다른 도로의 길이에 따른 도로 너비. 주차장법 도로 등에 대해 알아봤죠. 건축법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접도의무 막다른 도로 주차장법 도로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세부적인 허가 기준 6가지 분야별 검토사항과 용도지역별 검토사항에 대해 알아봤죠. 개발행위허가 기준 6가지 분야별 용도지역별 검토사항 이전 포스팅 개발 pak080.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건축법 도로 두번째 도로의 지정, 건축선 지정 , 도로모퉁이 건축선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도로의 지정(건축법 제45조) 처음 도로를 개설하겠다고하여 한번 도로를 사용하게 허락한 경우 재차 이 도로를 다른 사람이 사용할 경우 이해관계인의 동의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2022. 12. 16. 건축법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접도의무 막다른 도로 주차장법 도로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세부적인 허가 기준 6가지 분야별 검토사항과 용도지역별 검토사항에 대해 알아봤죠. 개발행위허가 기준 6가지 분야별 용도지역별 검토사항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기본적인 내용과 개발행위허가 규모 면적 산정 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죠. 개발행위허가 기준 개발행위 규모 면적 산정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란 무엇이며 pak080.tistory.com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6가지 분야별 검토사항 중 기반시설에서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는 건축법에 적합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수차에 걸쳐 개발행위허가 기준뿐만 아니라 토지 인.허가의 핵심인 도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분야별 검토사항 중 기반시설에서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는 건축법에 적합해야.. 2022. 12. 15. 개발행위허가 기준 6가지 분야별 용도지역별 검토사항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기본적인 내용과 개발행위허가 규모 면적 산정 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죠. 개발행위허가 기준 개발행위 규모 면적 산정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란 무엇이며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 6개의 개발행위에 대해 알아봤죠. 국토계획법 개발행위허가란? 개발행위허가 대상 이번 포스팅부터는 국토계획법에 의한 개 pak080.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세부적인 허가기준 6가지 분야별 검토사항과 용도지역별 검토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개발행위허가를 담당하고 있는 행정청에서는 - 공통분야 - 도시.군관리계획 - 도시.군계획사업 - 주변 지역과의 관계 - 기반 시설 - 그 밖의 사항 이 6가지에 대해 세부적인 허가심사기준을 고려하여 개발행위허가 여부를 심사하고 있.. 2022. 12. 14. 개발행위허가 기준 개발행위 규모 면적 산정 이전 포스팅 개발행위허가란 무엇이며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 6개의 개발행위에 대해 알아봤죠. 국토계획법 개발행위허가란? 개발행위허가 대상 이번 포스팅부터는 국토계획법에 의한 개발행위허가에 대해 수차에 걸쳐 알아보겠습니다. ● 개발행위허가제의 정의 개발행위허가제는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게 유도하여 국토관리의 지속가능 pak080.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내가 하고자 하는 개발행위의 허가 불허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개발행위허가의 기준에 대해 알아보죠 미개발 농지.임야에 농지전용.산지전용허가를 받았으나 그 다음 단계인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못한다면 마지막 단계인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토지 투자의 목적은 건축을 하기 위함이 대부분인데 건축이 불가라면 투자의 의미가 없어지겠죠 전용허가시 체크.. 2022. 12. 13. 국토계획법 개발행위허가란? 개발행위허가 대상 이번 포스팅부터는 국토계획법에 의한 개발행위허가에 대해 수차에 걸쳐 알아보겠습니다. ● 개발행위허가제의 정의 개발행위허가제는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게 유도하여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키고 토지에 대한 정당한 재산권 행사를 보장하여 토지의 경제적 이용과 환경적 보전의 조화를 도모하며, 계획의 적정성, 기반시설의 확보여부, 주변 경관 및 환경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하가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난개발을 방지하고 국토의 계획적 관리를 도모하는 제도라고 국토부 훈령인 "개발행위허가 운영지침"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 개발행위허가제 특징 계획의 적정성, 기반시설의 확보여부, 주변 경관 및 환경과의 조화를 도모하는 선계획 + 후개발을 실현하는 제도로서 허가기준을 분야별 행위별 용도별로 세분하여 수치적으로 규제할 .. 2022. 12. 12. 이전 1 ··· 12 13 14 15 다음 반응형